심리학 나르시시즘

1. 정의

나르시시즘 또는 자기애는 정신분석학적인 용어로 자기 외모, 능력과 같은 어떠한 이유를 들어 지나치게 자기 자신이 뛰어나다고 믿거나 사랑하는 자기 중심성 성격 또는 행동을 말한다. 정신분석학에서는 나르시시즘을 보통 인격적인 장애 증상으로 여긴다. 자기 신체에 대한 성적 흥분을 느끼거나 완벽한 사람으로 여기며 만족을 얻는다. 나르시시즘은 물에 비친 자기 모습에 반해 물에 빠져 죽은 나르키소스의 이름을 이용해 네케가 만든 용어다.

2. 정의

나르시시즘은 이상화된 자기 자아 이미지와 속성에 대한 허영심, 이기적인 감탄으로 만족을 추구하는 것이다. 정신분석에 따르면 유아기 또는 청소년기 전에는 본능 또는 관심이 주로 사기 자신에게 쏠려있는 경우가 많다. 프로이트는 이 상태를 일차적 나르시시즘이라고 얘기했다. 성장하며 이런 본능, 애정 등은 자기 자신에서 다른 이성으로 점차 옮겨가며 확대된다. 그러나 애정을 쏟은 대상과의 관계에 심각한 배신, 결별 등의 환경에 여러 번 노출 되면 상대를 사랑할 수 없게 되어 자기 자신을 사랑하게 된다. 나르시시즘의 유래는 나르키소스에 대한 그리스 신화에 있다. 오비드에 따르면 님프 에코의 발전을 필사적으로 거부했다고 한다. 이 이야기는 1752년 장 자크 루소의 연극인 나르시스를 통해 공연됐다. 나르시시즘의 특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인 특징 몇 가지는 남보다 잘하는 것이 있으면 자기에 대한 자긍심과 과시가 극도로 넘쳐난다는 것, 남보다 열등한 점에 대해 풀이 죽거나 자기비하하는 것이 지나치다는 것, 자기중심적으로 타인을 재단하고 세상을 관찰하는 모습 등이 있다. 나르시시즘에 대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치는 대표적으로 두 가지가 있다. 나르시시즘 성격 목록(NPI)은 나르시시즘에 대한 사회 심리 연구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척도이다. 40개 항목 강제 선택이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연구에서 사용하는 버전이다. 짧은 버전으로는 NPI-16으로 16개 항목인 버전도 존재한다. NPI는 자아도취성 인격 장애에 대한 DSM-III 임상 기준을 기초로 일반 모집단에서 나르시시즘의 특징을 측정하도록 설계되었다. 다음으로 밀론의 임상 다축성 이론이 있다. 이는 MCMI로 불리며 시어도어 밀론이 개발했다. 이는 나르시시즘에 대한 척도가 포함되어 있으며 자아도취성 인격장애의 척도를 측정하지만, NPI에서는 정상적인 나르시시즘의 정도를 측정한다. 따라서 NPI에서 아주 높은 점수를 받아도 NPD를 갖지 않지만 MCMI는 그렇지 않다. 나르시시즘에 대한 접근 방식에는 임상심리학과 사회심리학이 있다. 임상심리학에서는 나르시시즘을 장애로 취급하지만, 사회심리학에서는 나르시시즘을 인격적 특성으로 취급한다. 캠벨과 포스터에 따르면 나르시시즘을 가진 사람들은 여섯 가지 기본적인 특성을 가진다고 한다. 첫 번째로 긍정이다. 이는 그들이 다른 사람들보다 더 나은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특별함이다. 그들은 자기 자신이 특별하고 독특하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세 번째로 이기성이다. 그들은 이기적이라는 것이다. 네 번째로 대리다. 그들의 견해는 대리영역에서 가장 과장되어 있다는 것이다. 다섯 번째로 성공 지향이다. 그들은 접근 지향적으로 행동하며 성공을 지향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과장이다. 그들의 견해는 현실적이지 않은 경향이 있다. 자기 보고서를 객관적인 보고서와 비교하는 측정에서 그들의 자기관은 크게 과장되어 있다는 경향성이 밝혀졌다. 한편, 자기애적 공급, 학대, 방어, 분노, 손상 등은 나르시시즘에서 사용하는 용어이다. 먼저 자기애 분노란 자기애 손상에 대해 분노로 반응하는 것으로, 나르시시스트의 자존심 또는 자존감에 위협을 받았다고 인식할 때 분노하는 것이다. 자기애 공급이란 1938년 오토 페니켈에 의해 정신분석에 도입된 개념이다. 개인의 환경으로부터 생긴 존경, 대인관계 유지 등을 묘사하기 위함이었다. 이 용어는 사람들에 대한 동경이나 과도한 필요성을 묘사하는 등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자기애 방어란 자아의 이상적인 모습을 보호하며 그 한계를 인정하지 않는 과정이다. 나르시시스트들은 대체로 엄격하며 전체주의적인 경향이 있고 수치심과 죄책감에 자주 휩싸인다. 마지막으로 자기애적 학대는 부모의 존경 욕구를 채우기 위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아이가 자신의 욕구와 감정을 포기하도록 유도 또는 요구하는 나르시시스트 부모에 의한 정서적 학대로 정의되었으나 최근에는 성인 대 성인 관계를 포함한 나르시시스트의 학대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로 사용한다.

3. 종류

나르시시즘의 종류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매스터슨의 하위 유형, 밀론의 변종, 기타가 그것이다. 먼저 밀론의 변종이란 1966년 시어도어 밀론에 의해 확인된 나르시시스트의 네 가지 변종을 말한다. 첫 번째로 무원칙한 나르시시스트란 도덕적이지 않고 착취적이며 기만적인 사람이며 반사회적 특징을 포함한다. 두 번째로 관능적인 나르시시스트란 에로틱하고 유혹적이며 능글맞고 병적으로 거짓말을 하며 과장적 모방의 특징을 포함한다. 세 번째로 보상적인 나르시시스트란 우월하다는 환상을 불러일으키며 부정적, 회피적 특징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엘리트 나르시시스트란 ‘남근 자기애적’ 성격에 해당하는 순수한 패턴의 변종이다. 매스터슨의 하위 유형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과시적 나르시시즘, 폐쇄적 나르시시즘이 그것이다. 둘 다 부모가 제공하는 심리적인 양육의 질이 나빠 나이와 단계에 따른 자기를 적절히 발달시키지 못한다는 특징이 있다. 과시적 나르시시스트는 내면의 공허함에 대한 거창한 자기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며 항상 타인으로부터 완벽한 동경을 받기를 원한다. 폐쇄적 나르시시스트는 타인에게 지속해서 허락을 요구하며 타인을 기쁘게 하려고 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