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울증은 의욕 저하나 침울한 기분, 활동력 저하 등이 지속되는 정신 이상 상태를 말한다. 우울증에 걸리면 감정 조절을 담당하는 뇌의 기능에 변화가 생겨 부정적인 감정이 나타난다. 정신 이상 상태를 말하는 만큼 우울증이 아닌 우울 장애가 맞는 말이다. 하지만, 의욕 저하나 침울한 기분 등으로 인해 공허감, 무기력함, 불안이나 공포 등 여러 증상을 일으키는 질병이기 때문에 증후군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 사람들이 자주 겪는 질환이나, 증상의 강도에 따라 위험해질 수도 있는 질병이다.
우울증은 우울 척도 점수에 따라 경도, 중등도, 고도 단계로 나뉘며 경도 단계에서 고도 단계로 우울 척도 점수가 높아진다. 우울 척도 점수가 경도에 머무를 경우에는 증상이 나타나도 일상생활이 가능한 수준이나, 중등도부터는 일상생활 하는 것에 있어서 힘들고, 자살의 위험이 있다고 판단하여 항우울제를 처방한다.
우울증을 치료하는 방법에는 약물과 심리치료가 있다. 보통 약물치료는 중등도 이상의 수준의 우울증을 겪는 환자에게 사용하는 방법이고, 심리치료는 경도 수준의 우울증 환자에게 사용하는 치료법이다. 경도 수준의 우울증은 시간이 지나며 스스로 호전되는 경우도 있지만, 상태가 악화할 경우에는 전문가와 상담 후 자신에게 맞는 치료법을 선택해야 한다.
이번에 작성하는 문단은 미국 정신의학회에서 진단하는 정신장애의 기준이다. ‘하루의 대부분 우울한 기분이 지속된다.’, ‘매일 일상생활을 하면서 즐거움이나 흥미를 느끼지 못한다.’, ‘식단 조절을 하지 않음에도 체중이 급격하게 줄거나 는다. 또는 식욕이 줄거나 는다.’, ‘매일 불면증을 겪거나 과수면 한다.’, ‘매일 정신적으로 흥분이 되거나 남들이 보기에도 자신이 불안해하는 것을 느낀다.’, ‘매일 피곤하거나 힘이 나지 않는다.’, ‘자신에 대해 과도하게 자책한다.’, ‘집중력이 저하되고 판단이 느리다.’, ‘죽음이나 자살에 대해 생각한다,’ 이 항목들 5개 이상이 해당하고 2주일 이상 나타난다면 우울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우울한 기분’ 이나 ‘흥미 또는 즐거움의 상실’ 두 항목 중 하나는 반드시 해당해야 한다. 만약 당신이 여기서 말한 것들에 해당한다면 전문가를 찾아가 상담을 받아볼 것을 추천한다.
우울증의 유형은 다양하다. 일반적인 우울증은 우울한 기분이나 의욕 저하를 느끼며 사고와 판단이 느려지고 잠을 잘 이루지 못한다. 이러한 우울증이 1년 이상 지속된다면, 그것은 만성 우울증이다. 정신적, 신체적 충격에 의한 후유증으로 회피성 우울증이 생길 수도 있다. 만약 우울증과 조증이 동반되어 감정의 기복이 심하다면 조울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중등도 또는 고도 수준의 우울증이 1년 이상 지속되는 것은 반복성 우울증이다. 만성 우울증과의 차이점으로는 반복성 우울증은 중등도 또는 고도 수준의 우울증을 1년 이상 겪는 것을 의미하며, 만성 우울증은 경도 수준의 우울증을 1년 이상 겪는 것을 의미한다. 우울한 기분을 느끼지는 않으나 흥미 감소나 식욕 또는 성욕이 심하게 감소한다면 그것은 멜랑콜리아형 우울증이다. 이 외에도 불안함을 자주 느끼는 불안성 우울증, 자신의 미래에 대해 지나치게 걱정하여 우울감을 느끼는 장래성 우울증, 망상하여 우울증 증세를 보이는 망상형 우울증, 흥미 있는 일이나 즐거운 일에 정상적인 반응을 보이나 평소의 기분 자체가 우울한 기분을 느끼는 비정형 우울증이 있다. 우울증 증세가 5개 이상을 되지 않으나 2개에서 4개 정도가 해당하고, 일상생활은 가능하나 수년간 지속해 우울 증세를 느낀다면 지속성 우울증이다.
우울증은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이 겪고 있는 질환이니만큼 많은 반례가 존재하고, 개인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위에 기재한 내용은 대체로 우울증 환자는 이런 증세를 겪는다는 정도로 봐야 하며 스스로 우울증을 판단하면 안 되며 매우 좋지 않은 것이다. 그러므로, 자신이 우울증이 의심된다면 무조건 전문가를 찾아가 상담을 요청해야 한다. 우울증을 그대로 방치하거나 잘못된 판단과 치료를 하면 증세가 더 악화할 위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