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인격 장애

성격, 사고방식 등이 사회적 기준에서 벗어나서 사회생활에 문제를 일으키는 장애를 인격 장애 도는 성격 장애라고 한다. 인격 장애는 장소나 시간에 상관없이 나타나며 청소년기와 성인 초기에 발생한다. 인격 장애에 대한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여러 가지 가설이 제시되고 있다. 그중 가장 신뢰도가 높은 가설로는 신체적, 정신적, 성적 학대 등으로 인해 뇌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 인격 장애가 발생한다는 가설이며, 인격 장애의 유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인격 장애의 첫 번째 유형은 기이형이며, 편집성, 분열형, 분열성 인격 장애로 구분된다. 편집성 인격 장애는 타인에게 부당한 의심을 과도하게 갖는 경우로 남들에게 자신을 잘 드러내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질투심도 심하다. 분열형 인격 장애는 사회적 고립, 마술적 사고, 피해의식, 관계 망상, 착각 등이 특징이다. 분열성 인격 장애는 감정 표현을 제대로 하지 않으며, 활동적인 일에 관심이 없고, 사회로부터 고립되려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타인과의 관계 형성이 힘들다.

인격 장애의 두 번째 유형은 충동형이며, 반사회성 인격 장애, 경계선 인격 장애, 자기애성 인격 장애, 연극성 인격 장애로 구분된다. 반사회성 인격 장애는 타인을 속이고, 범죄 행위를 하는 데에 죄책감을 느끼지 않으며, 지나친 야망과 자신은 우월하다고 생각하여 타인의 감정에 공감하지 못한다. 경계선 인격 장애는 감정 기복이 심하며 삶에 대한 권태, 공허함을 주로 느낀다. 주체성에도 혼란은 가지고 있으며, 돌발적인 행동을 자주 보인다. 자기애성 인격 장애는 자신의 재능이나 능력을 과대평가한다. 그래서 자신에 대한 평가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집착한다. 주로 예술가 형 사람들에게 나타난다. 연극성 인격 장애는 정체성의 혼란을 가지고 행동이 매우 극적이며 사람들의 주의를 끄는 행동을 많이 한다. 또한 감정 표현이나 묘사 등 언어 사용에 있어 일반 사람들과 다른 특징이 있다.

인격 장애의 세 번째 불안형이며, 회피성 인격 장애, 의존성 인격 장애, 강박성 인격 장애가 있다. 회피성 인격 장애는 거절에 대해 매우 예민하고, 자존감이 낮아 사회공포증도 많이 나타난다. 그래서 사회공포증을 진단할 때 회피성 인격 장애에 대해서도 검사를 한다. 의존성 인격 장애는 회피성 인격 장애와 비슷하지만, 책임감을 느끼는 것을 두려워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타인의 보살핌을 얻기 위해서는 어떤 일이라도 자처해서 하는 모습을 보인다. 강박성 인격 장애는 주어진 일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지를 지나치게 불신하는 경향을 보인다. 완벽주의적이며, 모든 것을 통제하려고 한다.

이러한 인격 장애는 증상이 호전될 수 있으나, 치료가 어렵고 증세의 호전 또한 갑자기 나타나지 않는다. 마샤 리네한은 인격 장애에 대해 변증법적 행동치료를 제안한다. 변증법적 행동치료는 환자가 자신의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요인을 파악하고 원하지 않는 반응을 취하지 않게 하기 위해 대처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치료법이다. 이 치료법은 경계선 인격 장애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처음으로 검증된 치료법이다. 또한 기존의 치료법에 비하여 인격 장애에 대한 행동이나 치료 중도 포기 등의 행태가 감소한 것이 판명된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