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인격 장애

성격, 사고방식 등이 사회적 기준에서 벗어나서 사회생활에 문제를 일으키는 장애를 인격 장애 도는 성격 장애라고 한다. 인격 장애는 장소나 시간에 상관없이 나타나며 청소년기와 성인 초기에 발생한다. 인격 장애에 대한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여러 가지 가설이 제시되고 있다. 그중 가장 신뢰도가 높은 가설로는 신체적, 정신적, 성적 학대 등으로 인해 뇌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 인격 … Read more

심리학 조울증

조울증은 현대 사람들에게 많이 나타나고 있는 질병 중 하나이다. 조울증은 비정상적으로 흥분하는 조증과 비정상적으로 우울해하는 우울증이 주기적으로 번갈아 가며 나타나는 질병을 말한다. 조울증의 다른 이름으로는 양극성 장애, 기쁨 슬픔 병 등이 있다. 이는 감정의 장애가 주요 증상인 내인성 정신병이다. 또한 조울증은 조증의 비율이 큰 I형, 우울증의 비율이 큰 II형으로 나누어진다. 우울증과 조증이 약하게 나타나지만 주기가 … Read more

심리학 이론 임상 심리학

임상 심리학은 인간의 심리적 문제에 대한 진단과 치료를 하는 분야로 심리학의 한 분야이다. 사회학, 인문학 등 인접 학문에서 연구된 이론을 부적응 문제 및 치료에 적용하는 심리학이다. 임상 심리학의 시작은 1896년 위트머가 펜실베이니아 대학에 몸이 불편한 사람을 위해 ‘심리 클리닉’을 개설했다. 1909년에는 힐리가 사회적으로 소외되는 청소년들을 위한 시설을 마련했다. 이후 1930년대 미국에 정신분석학에 대한 사상이 뿌리내리며 … Read more

심리학 이론 욕구단계설

욕구란 생활체에 생기는 부족 상태를 보충하고 과잉 상태를 배제하려는 과정이며 사람을 움직이는 심리적 동인으로서 그것을 충동이라고도 하며 욕망이라고 보기도 한다. 욕구는 유기체로서의 인간이 내부적으로 어떤 결핍이나 과잉 현상이 생길 때 정상상태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움직임이 나타난 것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욕구는 동적이며 언제든지 새롭게 출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분류가 무의미하다고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 또한, 모든 사람은 욕구가 … Read more

심리학 이론 귀인 이론

‘귀인’이란 ‘원인의 귀착’의 줄임말이다. 어떤 사건에 대한 원인을 판단하는 것을 말하며, ‘귀인 이론’은 결과를 두고 원인을 추론한다는 뜻으로 ‘심리적 추론’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다른 사람이 접시를 깨뜨렸을 때 ‘아마 저 사람은 다른 사람과 부딪혀서 접시를 깨뜨렸을 거야’ 하며 원인을 결과를 근거로 원인을 찾아보는 것이다. 귀인 이론은 프리츠 하이더, 해롤드 켈리, 에드워드 E. 존스, 리 로스에 … Read more

심리학 이론 노출 효과

‘노출 효과’는 단순히 노출되는 횟수와 그 대상에 대한 호감이 비례하는 현상을 말한다. 대상에게 노출이 계속될수록 대상에 대한 호감이 증가하는 것이다. 노출 효과는 ‘단순 노출 효과’라고도 한다. 이 현상은 미국의 사회 심리학자 로버트 자이언스가 이론으로 정립했다. 노출 효과는 단순 노출 효과 말고도 불리는 말이 더 있다. ‘친숙성의 원리’라고 불리기도 하고, ‘에펠탑 효과’라고 불리기도 한다. 친숙성의 원리도 … Read more

심리학 이론 후광 효과

사람은 어떤 사물을 보거나 사람을 만나게 되면 만난 대상에 대해 평가한다. 평가할 때는 대상의 모든 것을 보고 평가하지 않는다. 모든 것을 볼 기회나 시간이 없기 때문이다. 사람을 평가하게 될 경우에는 먼저 보이는 외관을 보고 평가하게 된다. 그 사람의 외모가 잘생겼거나, 옷을 잘 차려입었다면, 그 사람에 대해 좋은 평가를 하게 된다. 이렇게 사물이나 사람의 일부에 주목해 … Read more

심리학 이론 플라시보 효과, 노시보 효과

어느 환자가 죽기 직전의 상황까지 놓이게 되었다. 병명은 원인 불명의 희소병이다. 담당 의사는 치료를 포기하고 환자에게 약을 처방했는데, 약이 아닌 포도당을 처방했다. 하지만 의사는 포도당을 투여하면서 이 약을 먹으면 병이 나을 것이라며 거짓말을 하였고, 환자는 그 말을 듣고 자신의 상태가 나아질 것이라며 굳게 믿고 있었다. 그렇게 며칠이 지나자 환자의 상태가 점점 호전되었고, 결과적으로 원인 불명의 … Read more

심리학 이론 점포 효과

‘점포 효과’란 앞서 접한 정보가 다음에 접하는 정보를 해석하거나 이해하는 것에 영향을 주는 심리 현상을 말한다. 점포 효과를 가장 먼저 연구한 연구자들로는 바르프, 피에트로모나코, 파지오, 브라스콤프가 있다. 점포 효과를 예를 들면, 한 사람은 ‘먹는다(eat)’라는 단어를 먼저 보고, 다른 한 사람은 ‘씻는다(wash)’라는 단어를 먼저 본 후 ‘so_p’라는 단어를 제시할 시 ‘먹는다(eat)’라는 단어를 먼저 본 사람은 ‘수프(soup)’라는 … Read more

심리학 실험 밀그램의 복종 실험

‘밀그램의 복종 실험’은 1961년 예일 대학교의 심리학자 조교수인 스탠리 밀그램이 진행한 권위에 의한 복종에 대한 실험이다. 실험 이후 밀그램은 사람들이 비도덕적인 복종에 굴복하는 이유가 성격보다 상황에 있다고 믿고, 굉장히 설득력 있는 상황이 생기면 아무리 이상적인 사람이라도 도덕적, 윤리적인 규칙을 무시하고 명령에 따라 잔혹한 행위를 저지를 수 있다고 했다. 밀그램의 복종 실험은 ‘징벌에 의한 학습 효과’라는 … Read more